정확한 정보만을 전달합니다. 목차를 이용하시면, 관련 정보를 바로 볼 수 있어서 편리합니다.
오늘의 포스팅 주제는 바로 질병코드 s434 실비보험 청구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입니다. 바로 시작해보겠습니다.
질병코드 s434
- S43 : 견갑대의 관절 및 인대의 탈구, 염좌 및 긴장
- S430 : 어깨관절의 탈구
- S4300 : 상완골의 전탈구
- S4301 : 상완골의 후탈구
- S4302 : 상완골의 하탈구
- S4308 : 어깨의 기타 부분 탈구
- S4309 : 어깨의 상세불명 탈구
- S4309 : 어깨관절의 탈구
- S431 : 견쇄관절의 탈구
- S432 : 흉쇄관절의 탈구
- S433 : 견갑대의 기타 및 상세불명 부분의 탈구
- S433 : 견갑대의 탈구 NOS
- S434 : 어깨관절의 염좌 및 긴장
- S434 : 부리상완(인대)의 염좌 및 긴장
- S434 : 회전근개피막의 염좌 및 긴장
- S435 : 견쇄관절의 염좌 및 긴장
- S435 : 견쇄인대의 염좌 및 긴장
- S436 : 흉쇄관절의 염좌 및 긴장
- S437 : 견갑대의 기타 및 상세불명 부분의 염좌 및 긴장
- S437 : 견갑대의 염좌 및 긴장 NOS
탈구 염좌 및 긴장(S434)이란?
S43.4는 어깨 관절의 염좌 및 긴장입니다. 인대는 관절 주위에는 질긴 섬유조직의 인대가 연결되어 뼈가 어긋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염좌는 인대가 다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가벼운 손상(인대의 부분 파열, 신연)에서부터 완전 파열까지의 다양한 정도의 인대 손상을 모두 포함합니다. 그 손상 정도에 따라 1도에서 3도까지 구분할 수 있습니다.
어깨는 상완골, 견갑골(어깨 관절) 및 쇄골(빗장뼈)로 구성되어 팔을 몸통에 붙이는 역할을 하는 관절입니다. 이 중 상완골과 견갑골이 만나 이루어지는 어깨 관절은 운동 범위는 넓으나 골프공이 골프티에 놓인 모양처럼 생겨 불안정한 모양입니다. 따라서 관절 안정성은 관절낭, 인대 및 회전근 힘줄이 많은 역할을 하게 됩니다.
어깨 주위에는 어깨 관절 외에도 쇄골이 견갑골과 만나게 되는 견봉 쇄골 관절이 있습니다. 견봉 쇄골 관절은 넘어지면서 어깨 부위가 직접 지면에 닿아 발생하는 손상이 대부분이며, 손상으로 인한 인대 오구쇄골 인대 손상의 정도에 따라 부분 파열에서부터 완전 파열로 인한 탈구까지 발생할 수가 있습니다.
견봉 쇄골 관절의 손상이 의심되는 경우는 반드시 양측을 같이 비교하여야 하며, 손상의 정도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양측 팔에 5kg ~ 7kg의 추를 매달아 촬영하는 스트레스 부하 방사선 검사합니다. 스트레스 부하 검사에서 양측 쇄골의 높이가 100%이상 차이가 나면 수술을 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질병코드 s434 실비보험 청구 가능합니다.
'질병코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질병코드 m5422 실비보험 (0) | 2023.05.25 |
---|---|
질병코드 m511 실비보험 청구 여부 (0) | 2023.05.25 |
질병코드 s3350 실비보험 청구 여부 (0) | 2023.05.24 |
질병코드 s134 실비보험 (0) | 2023.05.24 |
질병코드 u071,U072 코로나 (0) | 2023.05.24 |